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태국이 본선에 자동 진출하고, 예선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이란,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가 합류하여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조별 리그를 거쳐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태국이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 상위 3개 팀은 2016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여자 축구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캐나다에서 개최된 FIFA 여자 월드컵의 일곱 번째 대회이며, 미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첼리아 샤시치와 칼리 로이드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 2015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은 유럽 축구 연맹 국가대표팀들이 UEFA 여자 유로 2017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예비 예선, 조별 예선,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어 각 조 1위 팀과 성적 좋은 2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2위 팀들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팀을 결정한다. - 2015년 청소년 축구 - 2015년 FIFA U-20 월드컵
2015년 FIFA U-20 월드컵은 FIFA 주관으로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세르비아가 우승했으며, 7개 도시에서 진행, 울리엄을 마스코트로 사용했다. - 2015년 청소년 축구 - 2015년 FIFA U-17 월드컵
2015년 FIFA U-17 월드컵은 2015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칠레에서 개최된 FIFA U-17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칠레가 러시아, 튀니지, 웨일스와의 경쟁 끝에 개최지로 선정되어 총 24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나이지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기타 명칭 | 2015 아시아 축구 연맹 U-16 여자 챔피언십 |
개최국 | 중국 |
개최 기간 | 2015년 11월 4일 – 11월 15일 |
참가 팀 수 | 8개국 |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번째 우승) |
준우승 팀 | 일본 |
3위 팀 | 중국 |
4위 팀 | 태국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69 |
총 관중 수 | 1755 |
득점왕 | 왕옌원 (6골) |
최우수 선수 | 리해연 |
페어플레이상 | 일본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3 |
다음 대회 | 2017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에서 개최되었으며, 신화루 스포츠 센터와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두 곳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예선 조 추첨은 2014년 6월 17일에 진행되었다.[4] 2013년 대회 성적에 따라 일본(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팀), 중국(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팀, 개최국), 태국(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4위 팀) 4개 팀이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4] 나머지 참가팀들은 예선에서 4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했다.[4]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 조 추첨은 2015년 5월 13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5]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과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으로 A1에 배정되었다.
1999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선수들이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 참가할 수 있었다.[6] 각 팀은 최대 23명의 선수(최소 3명은 골키퍼여야 함)를 등록할 수 있었다.[6][10]
각 조 상위 2개 팀은 준결승전에 진출한다.
3. 예선
예선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예선 A조 1위), 이란(예선 B조 1위), 대한민국(예선 C조 1위), 중화 타이베이(예선 D조 1위)가 본선에 진출했다.[4]팀 자격 참가 횟수 최고 성적 일본/日本일본어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팀 6회 우승 (2005, 2011, 20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ko-kp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5회 우승 (2007) 중국/中国중국어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 개최국 6회 준우승 (2005) 태국/ไทยth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4위 6회 3위 (2005)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uz 예선 A조 우승팀 2회 조별 리그 (2013) 이란/ایرانfa 예선 B조 우승팀 2회 조별 리그 (2013)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예선 C조 우승팀 6회 우승 (2009)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국어 예선 D조 우승팀 4회 조별 리그 (2005, 2009, 2013)
4. 시드 배정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5. 선수 명단
6. 조별 리그
팀 순위는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된다. 승점이 동률일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6]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두 팀만 동률이고 경기장에서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의 승부차기;
#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옐로 카드 및 레드 카드 수를 기준으로 계산한 점수가 적은 팀 (옐로 카드 1장당 1점, 옐로 카드 2장으로 인한 레드 카드 1장당 3점, 다이렉트 레드 카드 1장당 3점, 옐로 카드 후 다이렉트 레드 카드 1장당 4점);
# 추첨.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중국 표준시(UTC+8)를 따른다.참가국 참가 조건 참가 결정일 전 대회 우승 2014년 6월 17일[11] 전 대회 2위 2014년 6월 17일 전 대회 3위 2014년 6월 17일 전 대회 4위 2014년 6월 17일 예선 그룹 C 1위 2014년 10월 8일 예선 그룹 D 1위 2014년 10월 9일 예선 그룹 B 1위 2014년 10월 23일 [12] 예선 그룹 A 1위 2014년 12월 25일[13]
2015년 5월 13일에 조별 리그 조 편성이 결정되었다. 또한 개최 도시는 우한시로 결정되었다.[14]
일시는 모두 현지 시간(UTC+8:00) 기준이다.
6. 1. A조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A조 조별 리그는 2015년 11월 4일부터 11월 8일까지 진행되었다.[14] A조에는 중국, 태국, 대한민국, 이란이 편성되었다.
경기 결과 중국이 2승 1무(승점 7점), 태국이 2승 1패(승점 6점)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승점 4점), 이란은 3패(승점 0점)로 탈락하였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중국 | 3 | 2 | 1 | 0 | 12 | 3 | +9 | 7 |
태국 | 3 | 2 | 0 | 1 | 5 | 5 | 0 | 6 |
대한민국 | 3 | 1 | 1 | 1 | 8 | 4 | +4 | 4 |
이란 | 3 | 0 | 0 | 3 | 0 | 13 | -13 | 0 |
- 2015년 11월 4일, 태국은 이란을 4-0으로 꺾었다. 이 경기에서 깐야낫 차셋붓이 2골, 카렌 야오와폰 로르만이 2골을 기록하였다.
- 같은 날, 중국과 대한민국은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중국은 셰치원, 장린옌, 왕옌원이 득점했고, 대한민국은 최정민, 권희선, 문은주가 득점했다.
- 11월 6일, 태국은 낫와디 쁘람낙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을 1-0으로 이겼다.
- 같은 날, 중국은 이란을 4-0으로 완파했다. 마샤오란이 2골, 천위안멍과 왕옌원이 각각 1골씩 기록했다.
- 11월 8일, 중국은 태국을 5-0으로 대파했다. 마샤오란이 1골, 왕옌원이 2골, 진쿤이 2골을 기록했다.
-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이란을 5-0으로 꺾었다. 최정민이 2골, 정민영이 페널티킥으로 1골, 문은주가 1골, 양현지가 페널티킥으로 1골을 기록했다.
모든 경기는 우한시에서 진행되었으며,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와 신화루 스포츠 센터가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6. 2. B조
B조에서는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2승 1무로 승점 7점을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4] 우즈베키스탄은 1승 2패(승점 3점)로 3위, 중화 타이베이는 3패(승점 0점)로 4위를 기록했다. 모든 경기는 우한시에서 현지 시간으로 15시에 진행되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3 | 2 | 1 | 0 | 11 | 1 | +10 | 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2 | 1 | 0 | 10 | 1 | +9 | 7 |
우즈베키스탄 | 3 | 1 | 0 | 2 | 3 | 8 | -5 | 3 |
중화 타이베이 | 3 | 0 | 0 | 3 | 0 | 14 | -14 | 0 |
- 2015년 11월 5일 일본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에서 일본은 나가노 후카, 우에키 리코, 미야자와 히나타, 다카라다 사오리의 득점으로 4-0 승리를 거두었다.
-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봄이, 승향심, 리해연, 리은정의 득점으로 중화 타이베이를 5-0으로 이겼다.
- 2015년 11월 7일 우즈베키스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김봄이의 해트트릭과 최은청의 득점으로 4-0 승리를 거두었다.
- 같은 날 일본은 엔도 준, 가네카쓰 리오, 미야자와 히나타(2골), 다카하시 하나, 고지마 세이라의 득점으로 중화 타이베이를 6-0으로 이겼다.
- 2015년 11월 9일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다카하시 하나(일본)와 승향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마프투나 판지예바, 샤흐노자 쿠르보노바, 마흘리요 나자르쿨로바의 득점으로 중화 타이베이를 3-0으로 이겼다.
7.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6]
11월 12일 우한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일본은 태국을 8-0으로 대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11월 15일 우한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중국이 태국을 8-0으로 크게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7. 1. 준결승전
2015년 11월 12일, 우한의 신화루 스포츠 센터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일본과 태국의 경기로, 일본이 8-0으로 크게 이겼다. 우에키 리코가 5분과 68분에 득점하였고, 다카하시 하나가 16분, 엔도 준이 36분과 75분, 미야자와 히나타가 55분과 56분, 다카라다 사오리가 84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100명이 입장하였고, 주심은 미얀마의 테인 테인 예였다.같은 날 19시에 열린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중국의 장린옌이 62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리해연이 2분과 87분에 득점하여 역전승을 거두었다. 관중은 280명이 입장하였고, 주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케이시 레이벨트였다.
7. 2. 3·4위전
2015년 11월 15일 15시(UTC+08:00),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의 신화루 스포츠 센터에서 중국과 태국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자오위제가 14분에 득점하였고, 왕옌원이 19분과 89분(페널티킥)에 득점하였다. 셰치원은 21분, 26분, 66분에 득점하였고, 진쿤이 32분에, 선멍위가 90+1분에 득점하여 최종적으로 중국이 태국을 8-0으로 이겼다. 이 경기의 심판은 일본의 가지야마 후사코가 맡았으며, 관중 수는 100명이었다.7. 3. 결승전
2015년 11월 15일 우한의 신화루 스포츠 센터에서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결승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빤니빠르 깜능 심판(태국)이 주심을 맡았으며, 205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전반 41분, 리해연이 득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8.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번째 우승